Network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의 종류와 연결 방식

에띠 2022. 6. 23. 14:15
728x90

현대 사회에서 네트워크는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때, 또는 회사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때 모두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네트워크는 그 크기와 연결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크기와 연결 방식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른 분류

1. LAN (근거리 통신망)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근처의 소규모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 보통 같은 건물 내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프린터 등 다양한 장비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집 안이나 회사 내에서 인터넷과 파일 공유를 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바로 LAN입니다.

2. WAN (장거리 통신망)
WAN은 "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리적으로 먼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여러 LAN들이 연결되어 더 넓은 범위의 지역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지구 반대편에 있는 지점과 연결되는 회사의 본사와 지사의 네트워크가 WAN에 해당합니다.

 

네트워크 연결 방식에 따른 분류

1. 스타형(Star) 네트워크
스타형 네트워크는 모든 장치가 중앙에 위치한 장비(예: 공유기)에 연결되는 방식입니다. 이 연결 방식은 간단하고 관리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Wi-Fi 공유기에 여러 기기가 연결되는 방식이 스타형 네트워크입니다. 중앙 장비가 고장 나지 않는 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2. 메쉬형(Mesh) 네트워크
메쉬형 네트워크는 여러 장치가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방식입니다. 모든 장비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비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장비를 통해 우회해서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안정성이 중요한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기업 네트워크나 데이터 센터에서 메쉬형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장애를 최소화합니다.

3. 혼합형(Hybrid) 네트워크
혼합형 네트워크는 여러 가지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스타형과 메쉬형을 조합하여 네트워크가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서브넷들이 서로 연결되면, 규모가 크고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마치며

네트워크의 종류와 연결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각 네트워크의 특징을 잘 이해하면 사용 환경에 맞는 네트워크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LAN은 주로 가까운 범위에서 사용되고, WAN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을 연결할 때 유용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방식에 따라 통신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필요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처럼 네트워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728x90